2023.02.01 09:24
정부가 올해 수소차 보급대수를 1만7000대 가량으로 잡았다. 보조금은 3000만원대다. 이중 승용차가 1만6000대에 달한다. 국내 판매되는 승용 수소차라고 해봐야 현대자동차 넥쏘 밖에 없다.1일 업계에 따르면 넥쏘는 지난해 1만176대(등록 기준, 실판매와는 소폭 상이)가 팔렸다. 예산 물량을 다 소화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도 정부는 지난해보다 수소차 보급대수를 두 배로 늘렸다.표면적으로 정부는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위해 수소차 보급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빠른 보급 확대를 위해 정책적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는 의지도 내비치고 있다.넥쏘는 지난 2018년 출시해 5년 동안 세대 혹은 부분 변경도 없이 판매를 이어2023.02.01 09:23
오너 기업 4세 젊은 경영인으로 주목받는 이규호 코오롱모빌리티그룹 대표가 ‘1호 신사업’으로 스웨덴 프리미엄 전기 바이크를 택했다.코오롱모빌리티그룹은 스웨덴 순수 전기 바이크 브랜드인 케이크(CAKE)의 국내 단독 수입사로 공식 유통을 맡게 됐다고 30일 밝혔다.코오롱글로벌에서 자동차 부문이 분할한 코오롱모빌리티그룹은 이달 4일 공식 출범했으며, 코오롱글로벌 자동차 부문을 이끌어온 이규호 사장이 대표이사를 맡아 경영 전면에 나섰다.코오롱모빌리티는 케이크 론칭을 계기로 기존 BMW, 아우디, 볼보, 지프 등 프리미엄 수입차 중심 포트폴리오에서 프리미엄 바이크로 사업 다각화를 도모할 계획이다.케이크는 2016년 스웨덴에2023.01.30 15:17
디젤차 감성을 그리워하는 이들이 있다. 특히, TDI는 선과 악이 공존하는 ‘디젤’ 엔진으로 유독 기억에 오래 남는다. 모든 제조사들이 전동화 전환에 나섰으니, 지금 나오는 디젤들이 마지막 유산이 될 수 있다.소싯적 TDI는 디젤 엔진을 대표했다. 효율성과 퍼포먼스를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는 평가를 받으며 끝없는 전성기를 누릴 것만 같았다. 시승 맛집의 원조 격이다. 덕분에 골프 TDI는 해치백의 교과서라는 타이틀을 얻었고 내연기관 기술의 정점인 하이브리드를 꺾어 누르기도 했다. ‘디젤 vs. 하이브리드, 서울-부산 연비 경합’은 전문지 기자들의 레퍼토리와도 같았다. 디젤 엔진의 전염성은 크기·타입을 불문하고 빠르게 옮2023.01.28 14:01
한 번 타면 강한 중독성에 빠져든다. 차이를 실감할 때는 시승차에서 내려 다른 차로 옮겨 타면서다. 특히, 옮겨 타는 차가 고성능 스포츠 세단이 아닌 이상에는 단박에 “차가 왜 이래”라는 말이 나온다. 그만큼 아우디 S4가 몸에 착 달라붙듯 만족스러웠다는 뜻.아우디 S4는 작은 체격에 V6 3.0리터 가솔린 엔진은 민첩하고도 완성도 높은 성능을 발휘한다. 물론, 8000만원이라는 가격대에 비슷한 성격을 가진 차들은 많다. 어떤 브랜드 차를 고르더라도 S4만큼의 만족스러울 수 있지만, 그 만족감을 S4만큼이나 지속할 수 있을지는 장담 못 한다.더 자세한 내용은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2023.01.28 13:24
굵은 눈발로 기자들까지 돌려보내야 했던 코나 시승 행사가 다음 날인 지난 27일 재개됐다. 사륜구동 옵션(HTRAC, 험로주행모드)까지 제공하게 된 ‘디 올 뉴 코나’이지만, 아무래도 이런 악천후는 걱정이 됐나 보다.시승 출발지인 현대모터스튜디오 고양에 새로 전시된 디 올 뉴 코나를 먼저 만났다. 안팎이 모두 달라진 모습이다. 외형 변화는 면상에 바로 나타난다. 2세대로 거듭난 만큼 큰 변화는 당연하지만, 패밀리룩을 이렇게까지 잘 써먹을 줄은 몰랐다. 현대차는 독특한 이 일자 눈썹에 심리스 호라이즌이라는 이름도 붙였다. 분명 호불호가 갈릴 수 있는 디자인이지만, 현대차의 시도는 과감했다. 다만, 기성세대를 대표하는 그랜저를2023.01.28 11:45
기아가 지난해 영업이익 7조원을 돌파하는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기아는 27일 기업설명회를 열어 지난해 연결 기준 판매 290만1849대, 매출액 86조5590억원, 영업이익 7조2331억원, 당기순이익 5조4090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연간 영업이익과 매출액은 IFRS 도입 이후 최대치를 기록한 2021년(각각 5조657억원과 69조8624억원)을 훌쩍 넘어섰다.지난해 4분기 기아는 73만259대 판매해 전년 대비 12.7% 증가했다. 이에 따른 경영 실적은 IFRS 연결기준 매출액 23조1642억원(34.8%↑), 영업이익 2조6243억원(123.3%↑), 경상이익 2조6301억원(61.3%↑), 당기순이익 2조365억원(63.2%↑)을 기록했다.국내 판매는 신형 니로의 신차 효과와 더2023.01.28 11:43
현대자동차가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현대차는 지난해 매출액 142조5280억원, 영업이익 9조8200억원을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전년 대비 매출액은 21.2%, 영업이익은 47.0% 늘었다. 모두 연간 최대 실적으로 종전 기록인 2021년 매출 117조6106억원, 2021년 영업이익 8조4406억원을 각각 뛰어 넘었다. 현대차가 140조원 이상의 연간 매출, 9조원 이상의 연간 영업이익을 거둔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현대차 지난해 4분기는 IFRS 연결기준 판매 103만8874대, 매출액 38조5236억원, 영업이익 3조3592억원, 경상이익 2조7386억원, 당기순이익 1조7099억원을 기록했다.국내 시장에서는 디 올 뉴 그랜저와 제네시스 라2023.01.28 11:40
그동안 수입차 시장에는 여러 브랜드가 출범하고 사라졌다. 피아트, 크라이슬러, 닷지, 스바루, 미쓰비시, 닛산, 인피니티, 사브 등이 각자의 사정으로 국내 시장에서 철수했다. 하지만, 올해 시장에 진입하는 새 브랜드들도 있어 기대를 모은다.26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미국의 픽업트럭 전문 브랜드 GMC와 프리미엄 오프로드를 표방하는 영국의 이네오스, 가성비를 앞세운 중국의 BYD 등이 국내 시장에 신규 진입한다.지난해 말 한국지엠에서 GM 산하 GMC 브랜드를 국내 공식 출범했다. 본격적인 판매는 올해 상반기 내 시작할 예정이다. 첫 출시 모델은 풀사이즈 픽업트럭 ‘시에라 드날리’로 국내 픽업 시장에서 공식 판매하는 대형 사이즈2023.01.28 11:37
지난해 여러 변화와 악재 속에서도 대체로 자동차 시장은 호황기를 누렸다.지난해 글로벌 전체 집계 기준으로 가장 많이 팔린 차는 토요타 코롤라, 라브4, 힐룩스, 캠리 등 대부분 토요타 브랜드 차들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토요타 코롤라의 경우 이미 지난해 10월 기준으로 84만대 이상이 판매돼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차로 등극했다. 하지만, 나라별 집계 기준으로 판매량을 살펴본다면 순위가 다소 달라진다.25일 외신 등에 따르면 나라별 집계 기준으로 지난해 가장 많이 팔린차로 포드의 F-시리즈가 등극했다. 미국에서 생산해 판매하는 대형 픽업트럭 F-시리즈는 지난해 내수에서만 65만3957대가 팔렸다. 기아의 지난해 한국 시장 전체2023.01.24 17:19
아주 독특한 디자인은 아니지만, 시선을 잡아끈다. 귀여움, 세련됨, 럭셔리를 넘어 마니아의 성지를 올려다보는 부러움의 눈길이다. 1725kg 무게의 작은 덩치가 최고출력 387마력, 51.0kg·m의 최대토크를 발휘한다.달리기에서 부족하다면 눈높이가 너무 높은 것이다. 이후 레벨은 페라리나 람보르기니 같은 슈퍼카로 넘어가야 한다. 제로백 4.3초의 성능은 포르쉐 911과도 맞먹는다. 그러면서도 시트 포지션은 일상 주행에 높이에 맞춰져 있다.차체 크기 이외에 일상의 편안함과 운전의 재미 모두를 다 아우른다. 평소 컴포트 모드로 달릴 때는 노면 소음이 조금 더 올라지만 이외에 기본형 모델과 큰 차이는 없다. 스티어링휠이 조금 더 무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