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02 18:19
2월 영업일 수 부족, 일부 반도체 수급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국내 완성차 5사가 판매 호실적을 기록했다.완성차 5사의 지난달 판매량은 총 62만5487대(CKD 제외)로 지난해 같은 기간(56만8219대) 대비 10.0%가 증가했고 전월(58만2497대) 대비해서도 7.3%가 늘었다.현대차, 내수 22.6% 해외 4.1% 증가현대자동차는 지난달 총 32만7718대를 판매했다. 내수는 6만5015대, 해외 판매는 26만2703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국내 판매는 22.6% 급증했고 해외 판매는 4.1%가 증가한 수치다.국내 판매는 지난달 출시한 신형 코나가 실적에 힘을 실었다. 세단은 그랜저가 9817대, 아이오닉6가 1632대, 쏘나타 2240대, 아반떼가 62023.03.02 17:53
경차 시장 활기를 불어넣었던 캐스퍼의 인기가 심상치 않다. 신차 효과가 떨어지면서 판매가 주춤하는 분위기다. 이에 따라 업계는 경차 시장의 혹한기가 다시 찾아오는 것이 아니냐고 우려하고 있다.2일 업계에 따르면 캐스퍼의 지난 1월 판매량은 3070대로 전월 대비 22.2%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월 판매량이 5000여대에 달했던 것과 비교하면 상당폭의 하락이다.캐스퍼는 지난 2021년 9월 출시되며 몰락의 길을 걷던 경차 시장에 구원투수가 됐었다. 지난해 국내 경차 판매량은 13만4924대 가우데 캐스퍼가 4만8002대를 기록하며 3분의 1을 차지했다.하지만, 최근에는 길었던 대기기간도 많이 줄었다. 최소 5~6개월씩 걸렸던 대기2023.03.02 17:50
“아반떼 가격에 살 수 있는 수입차.”수입차 가격 인하에 나서면 이처럼 흔히들 아반떼를 비교했다. 하지만, 싼차, 서민차, 대중차로 대표됐던 아반떼의 위상이 지금은 한층 올라간 분위기다. 디자인에서도 상품성에서도 일취월장을 이루고 있어서다.지난 27일 현대자동차는 아반떼 부분변경 모델 디자인을 최초로 공개했다. 디자인을 본 일부 여론은 처음부터 뜨거운 반응을 보였다.1990년 1세대로 탄생한 아반떼는 33년간 7세대까지 이어져 왔다. 빠른 흐름 속에서 적응하며 다양한 변화를 시도했다. 이전 6세대 모델에서는 ‘삼각떼’라는 별칭을 얻으며 다소 주춤했지만, 반응은 7세대부터 다시 치솟았다. 이번 모델은 7세대 이후 3년만의 부2023.03.02 17:47
스텔란티스가 지프 브랜드 첫 순수전기차 어벤저를 아시아 최초로 한국 시장에서 공개했다.한국 사업장은 28일 구미에 위치한 지프 전용 전시장에서 어벤저를 공개하며, 이를 기념해 내달 14일까지 지프 전용 전시장 7곳에서 어벤저 순회 특별 전시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어벤저는 지프 브랜드 최초 순수 전기 SUV로 지난해 3월 스텔란티스의 장기 전략 발표회인 ‘데어 포워드 2030(Dare Forward 2030)’에서 계획을 발표한 순수 전기 SUV 라인업 중 첫 번째로 공개된 모델이다. 지난 2022년 파리모터쇼에서 월드 프리미어로 첫선을 보인 이래, 개성 있는 디자인, 깔끔하고 견고한 인테리어, 우수한 주행거리 등으로 관심을 모았다.유럽 시2023.03.02 17:46
르노코리아자동차 노사가 회사 미래 청사진 완성을 위한 상생 공동 노력에 뜻을 모았다.르노코리아는 28일 부산공장에서 노사가 함께 모여 상생 공동 노력 선언문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날 스테판 드블레즈 사장과 김동석 노조위원장이 선언문을 발표하고 선언했다.드블레즈 사장은 인사말을 통해 6대 노조집행부의 취임을 축하하며 “노사간 서로 존중하면서 새롭고 혀내화된 노사 문화를 구축해 노사가 ‘원팀(one-team)’으로 회사의 비전을 함께 달성해 가자”고 말했다.이어 “노조의 협력없이 회사의 미래는 있을 수 없다. 노사가 함께 노력해 내년 출시할 중형 하이브리드 SUV 신차를 반드시 성공시키자”며 “부산공장이 르노 그룹 내2023.03.02 17:45
지난해 신규 등록 택시 10대 중 4대가 전기차로 등록되며 전기차 택시가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우리나라 택시 운행차량 대수는 총 23만109대다. 이 중 개인택시와 법인택시 비율은 각각 72.1%, 27.9%로 개인택시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 여기서 전기차는 2만2335대로 9.7%, 약 10%에 육박하게 됐다. 등록 비율로 보면 지난 2018년 683대로 전체의 1.8%에 불과했던 것이 지난 2021년(14.2%)부터 두 자릿수로 급증했다. 지난해에는 1만5765대로 전체 등록 대수의 37.9%를 차지했다.전기차 택시의 인기가 급격하게 높아진 데에는 최근 출시한 전기차들의 배터리 용량이 커진데다 1회 충전 주행가능 거리도 대폭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2023.03.02 17:43
토요타를 시작으로 널리 알려진 것이 하이브리드다. 최근 전기차 보급을 확대하는 데 한계를 확인한 업계는 다시 하이브리드에 눈을 돌리고 있는 모양새다.28일 업계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차종은 지난해 21만1304대가 판매되며 전기차 16만4482대보다 많이 팔렸다. 전년 대비 14.3%가 증가했다. 전기차(63.8%)만큼은 아니지만 아직은 성장세를 기대할 수 있는 대목이다. 심지어 당분간은 전기차 성장률이 감소하고 하이브리드 차종의 성장세가 가팔라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하이브리드는 전동화 과도기에 두 가지 양면성을 가진다. 하이브리드는 단순히 전기차 시대로 넘어가는 중간 단계로 볼 수 있지만, 제조사의 탄소배출량을 줄이면서도2023.03.02 17:42
겉모습에서는 달라진 점을 찾기 힘들다. 실내 분위기도 아직 구식이다. 계기판, 모니터 디지털화는 되어 있지만, 분리형의 전통적인 디자인이다(사실 개인적으로는 일체형보다 이쪽이 더 좋다).토요타는 내구성이 좋다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번 라브 4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로 나오면서 내실을 한층 더 단단하게 다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이브리드 버전일 때도 연비 효율성은 좋았지만, 이번에는 원하는 만큼의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다. 이번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은 전기 모드로만 60km 이상을 달린다고 한다. 충전 인프라만 갖춰져 있다면 꽤 괜찮은 제안이다. 고속 충전은 안 되지만, 규칙적인 출퇴근이라면 큰 무리가 없다.성2023.02.27 06:42
수입차를 살 때 나라별로 구분하기도 한다. 대체로 우리나라 수입차 시장은 독일차가 거의 장악하다시피 하고 있는데, 독일차 점유율은 수입차 시장에서 70%를 넘어선다. 최근 스웨덴 차인 볼보와 폴스타가 힘을 내고 있다. 예전에 토요타와 렉서스 혼다 등 일본차들이 차지하던 점유율을 이어받은 셈이다. 하지만, 뭐니뭐니해도 수입차 시장에서 가장 전성기가 빨리 왔던 건 미국차들이다. 아직 우리나라 자동차 시장이 커지지 않았을 때, 미국은 자동차 강국이었다. 로망이 있었다. 아마도 우리나라 수입차 시장에 미국차가 독일차보다 인기가 더 높았던 때가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미국차 이야기에 대한 더욱 자세한 이야기는 영상에서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