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매 부진과 잇따른 리콜 우려로 이미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는 테슬라가 또 다른 심각한 문제에 직면했다. 이번에는 차량 주행 거리계를 의도적으로 조작했다는 혐의로 새로운 집단 소송 표적이 됐다.
17일(현지시각) 미국 경제 전문매체 더 스트리트(The Street)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소송은 테슬라가 일반적으로 보증이 적용되는 수리 비용을 회피하기 위해 차량의 주행 거리계 마일리지를 고의로 늘렸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소송을 제기한 원고는 미국 거주자로, 3만6772마일(약 5만9298km)을 주행한 중고 2020년형 테슬라 모델 Y 차량을 구입했다고 밝혔다. 그는 차량이 서스펜션 문제로 지속적인 고장을 겪는 동안 주행 거리 기록에서 '독특한 패턴'을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그의 일상적인 운전 습관을 고려했을 때 하루 평균 약 20마일(약 32km)을 주행하는 것이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테슬라 차량의 주행 거리계는 하루 평균 72마일(약 115km)을 기록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도한 주행 거리 기록으로 인해 차량의 기본 보증 기간이 예상보다 훨씬 빠르게 만료되었다고 그는 지적했다.
원고가 법원에 제기한 이번 소송은 테슬라의 주행 거리계 시스템이 "테슬라 차량이 실제로 이동한 거리를 조작하고 잘못 표시하는 예측 알고리즘, 에너지 소비 지표 및 운전자 행동 승수"에 의존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시스템 조작을 통해 테슬라는 차량의 감가상각률을 가속화하고 보증 의무를 줄이며, 소비자들이 불필요하게 조기에 연장 보증을 구매하도록 강요하고 있다는 것이다.
소송 자료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다른 테슬라 소유주들 역시 유사한 유형의 마일리지 조작을 경험했다며 테슬라를 고발한 사례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이번 소송이 특정 개인의 문제가 아닌, 테슬라 차량 전반에 걸친 시스템적인 문제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번 주행 거리 조작 혐의 소송은 테슬라에게 여러모로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테슬라는 2025년 1분기 매출이 두 자릿수 감소했다는 실망스러운 실적을 발표한 바 있다. AP 통신은 이러한 매출 감소의 원인으로 노후화된 라인업, 심화되는 경쟁, 그리고 CEO 일론 머스크의 정치적 행보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발 등을 지적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테슬라는 최근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킨 사이버트럭(Cybertruck)에 대한 또 다른 대규모 리콜에 직면해 있다. 이번 리콜은 전기 트럭의 일부 부품이 주행 중 떨어져 나갈 수 있다는 심각한 안전 문제로 인해 진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