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한양대학교 자동차전자제어연구실 'ACELAB', 자율주행 솔루션기업 '컨트롤웍스'는 17일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5G 기반의 자율주차 기술을 공개 시연했다.
5G 자율주차는 자동차가 스스로 인근 주차장을 찾아가 빈 자리에 주차하는 일종의 '자율 발렛파킹(대리주차)' 개념이다. 차량이 스스로 오고 사람이 승차하면 자율주행을 하고 하차하면 혼자서 주차장으로 이동해 주차를 하는 게 특징이다.
선우명호 한양대학교 자동차전자제어연구실(ACELAB) 교수는 "주행 이후에는 반드시 주차가 뒤따르는데 그런 점에서 5G 자율주차는 지난해 선보인 자율주행의 넥스트 스텝이다. 영화 속에서 스스로 움직이고 주차하는 배트맨 자동차가 실제로 구현된 셈이다"며 "이번 기술을 통해 우리가 목적지에 도착했음에도 다시 인근 주차장을 알아보고 거기에 들어가 또 빈 자리를 찾아 헤매고, 어렵게 주차를 한 후, 다시 목적지로 걸어오는 모든 번거로움이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시연에 5G 자율주행차 'A1(에이원)'은 기존에 탑재된 ▲5G 자율주행 기술 ▲실시간 주차공간 인식 솔루션 ▲5G 클라우드 관제 서비스 플랫폼이 더해졌다. 또 ▲모바일 앱(App.) 서비스를 연계해 운전자가 차량 조작·위치 파악을 손쉽게 하도록 했다.
공개 시연은 서울시 상암 5G 자율주행 시범지구에서 진행됐다. A1은 'YTN뉴스퀘어' 건물에서부터 상암1공영주차장까지 약 800m 거리를 5분간 이동한 후 빈 주차공간에 자리를 잡고 스스로 시동을 껐다.
이번 시연에서는 A1에서 내린 운전석 탑승자가 모바일 앱(App.)으로 5G 자율주차를 명령하자 인근 주차장을 검색해 비어 있는 주차 공간을 터치하니 자동차가 스스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주차장까지 가는 동안에는 총 5개의 횡단보도와 3개의 교차로를 만났다. A1은 신호등과 통신(5G-V2X)으로 소통하며 매 순간 주행을 지속할지 제동을 시작할지 여부를 스스로 판단했다.
차량에 장착된 라이다(Lidar), 레이다(Radar) 센서 정보로 A1의 주변 상황을 인지하고 상황을 예측했다. 이를 통해 전·후·측방 차량의 차선변경과 갑작스러운 끼어들기에 안정적으로 대응했다.
5G 자율주차에서는 주차 공간을 맞추기 위해 전진과 후진을 몇 회 반복하는 사람과 달리 단 한 번의 후진으로 주차가 마무리됐다.
A1에 탑재된 실시간 주차공간 인식 시스템은 딥러닝을 기반으로 주차장에 설치된 CCTV를 통해 빈 자리 현황을 읽어낸다. 사전에 비어 있는 공간의 모습을 다양한 각도·채도로 인공지능(AI)에게 학습시켜 CCTV 상 화면만으로 빈 자리를 찾아낼 수 있도록 했다. 이렇게 찾은 빈 주차공간 데이터는 5G 클라우드 관제 플랫폼으로 모두 취합된다. 이후 해당 정보가 모바일 앱으로 전달돼 탑승자가 확인하게 되는 방식이다.
모바일 앱 서비스는 운전자가 주변 주차장의 빈 자리 정보를 확인하고 차량을 해당 위치로 보내는 기능을 제공했다. 또 차량의 현재 위치를 지도 상에서 실시간으로 보여주기도 했다. 또 주차가 마무리되면 주차 완료 알림을 띄워 차량이 정상적으로 도착했음을 알렸다.
선우명호 교수는 "이번에 시연한 A1은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 차량"이라며 "주차공간 확보를 위해서는 카메라 설치를 해야 하는데 쉬운 일이 아니다. 이 작업이 선행되면 통신사와 연계해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다"고 밝혔다.
선우명호 교수는 다만 주차공간의 혼란을 막기 위해 초저지연 통신으로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차량에 실시간으로 전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선우명호 교수는 "주차공간에 다른 차가 들어갈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차량에 전달해야 하는데 이 때 통신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공간에 대한 정보가 차량에 전달되기까지 시간차가 발생해 혼선을 빚지 않도록 실시간 정보 전달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시연에서는 이에 대한 테스트는 진행되지 않았다.
한편 5G 자율주행차 A1은 그간 137회의 비공개 5G 자율주차 실증을 거쳤다. ACELAB, 컨트롤웍스, LG유플러스는 이르면 내달부터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공개 시연을 시작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