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동차 부품업체가 미래차 전환에 대한 대응 계획을 제대로 세우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철저한 실태조사와 함께 중소 부품업계를 살리기 위한 지원책이 마련되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7일 양향자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의원이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사업전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지원되는 '구조혁신 지원 연구개발(R&D)' 사업의 내년도 예산이 30억5000만원에 불과했다.
구조혁신 지원 연구개발(R&D)은 사업전환 승인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개발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양 의원은 "미래차 시대로의 변화에 따라 사업전환이 절실한 내연기관 부품업체 입장에서 이같은 지원은 꼭 필요하다"면서 "부품업계가 처한 현실을 고려했을 때 근본 대책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했다.
그는 "자동차 부품업계에 따르면 5년간 약 1조원의 연구개발비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중기부의 내년도 30억원 예산은 전체 업종에 대한 지원 비용인 만큼 현실과는 동떨어진 턱없이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실제 국내 자동차 부품사는 미래차로의 전환에 빠르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이날 한국자동차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국내 자동차 부품사 총 1만212개 중 7416개사(73%)는 자금·기술·정보 부족 등의 사유로 미래차 전환 계획을 전혀 수립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해 양 의원은 "미래차 부품 1종을 양산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평균 13개월이고, 개발비용만 13억원이 든다"며 "영업 이익률이 1%대에 불과한 중소 부품사들이 독자적으로 사업전환을 이루기는 정말 어려운 상황이라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더불어 사업전환 지원사업에도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내연차 납축전지를 생산하는 기업이 전기차 배터리로 사업전환을 신청할 경우, 업종코드(축전지제조업)가 동일한 관계로 전환 승인이 불가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산업의 성패는 변화에 얼마나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하느냐에 달려있다"며 "자동차는 우리나라 국가첨단전략산업인 만큼 정부는 철저한 실태조사와 함께 중소 부품업계를 살리기 위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