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뉴 XC90은 볼보차의 최신 반자율기술 등 최첨단 기술이 전 모델에 기본으로 적용했다.
이 차는 총 12개에 달하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설치해 주행 속도, 경고와 정보 기호 등 주행 정보를 전달하는 '헤드업디스플레이(HUD)', 교차로에서 다른 차량이나 동물과의 추돌 위험성을 감지하는 업그레이드된 긴급 제동 시스템, 평행 주차와 직각 주차까지 지원하는 '자동 주차 시스템'이 전 모델(트림)에 제공된다.
특히 차량 성능외에 세련된 외관 디자인과 고급스러운 내관은 세대를 가리지 않고 폭넓은 사랑을 받고 있다.
북유럽 특유의 단순하지만 화려함을 뽐내는 스웨덴식 정수를 보여주는 차량 외관은 이전 세대보다 더욱 세련되고 현대적인 모습을 담았다. 특히 볼보가 강조하는 '사람을 위한 디자인'의 흔적이 차량 곳곳에서 발견됐다.
특히 수직으로 디자인한 프론트 노즈(차량 그릴과 범퍼 앞부분)는 차량이 보행자와 충돌할 때 보행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키고 앞 도어 부분에 사이드미러를 장착해 운전자 시야가 더 넓어졌다.
이처럼 XC90는 운전자와 보행자 모두의 안전을 꼼꼼히 살핀 흔적이 곳곳에 묻어있다.
또한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토르의 망치'의 모습을 띤 T자형 풀-LED 전면 헤드램프와 새로운 아이언 마크가 적용된 세로 모양의 그릴은 XC90의 강인함을 보여주기에 충분했다. 볼보는 앞으로 출시하는 모든 차량에 T자형 주간등을 기본 사양으로 적용할 예정이다.
차량 아래쪽으로 내려갈수록 넓어져 안정감을 주는 XC90 후면부는 스웨덴의 자연 산과 드넓은 들판 사이에 있는 유선형 도로를 떠오르게 하는 유선형 LED 리어램프로 완성됐다.
차량에 크롬 장식이 지나치게 배치되는 것을 억제하고 스웨덴식 화려함의 정수답게 간결한 디자인을 적용해 깔끔하고 편안한 느낌을 줬다.
시동은 조용했지만 출발은 경쾌했다. 전기 모터 장점이라고 할 수 있는 치고 나가는 속도와 순간적인 힘은 일반 내연기관 차량에서 느낄 수 없는 매력 중 하나다.
올 뉴 XC90 T8은 힘을 내야 하는 구간에서 폭발적인 힘을 내고 부드러움이 필요할 때에는 유연하게 대처하는 모습을 보였다.
차량 제동력은 유럽 브랜드 차량보다는 다소 밋밋했지만 미국 브랜드보다는 부드럽고 민감했다. 다시 브레이크를 밟아보니 차체 크기에 걸맞는 적절한 제동력을 과시했다.
또한 고속주행에서 보여준 안정감과 부드러운 변속감은 놀라웠다. 창문으로 들리는 바람 소리도 조용할 정도였다.
특히 공기 압력으로 조절되는 에어 서스펜션이 적용돼 XC90 T8은 차체 무게나 탑승 인원 무게와 상관없이 편안한 승차감을 느끼게 해줬다.
올 뉴 XC90 T8은 수퍼차저와 터보차저를 동시 적용한 볼보차의 4기통 2.0리터 가솔린 엔진과 전기 모터가 결합해 최고출력 400마력(가솔린 엔진 313마력+모터 87마력)을 발휘하는 고성능 SUV다.
가솔린 엔진으로 2200~5000rpm 구간에서 최대 토크 40.8kg·m, 전기 모터로는 낮은 엔진 회전 구간(0~3000rpm)에서 최대 토크 24.5 kg·m를 발휘했다.
올 뉴 XC90 T8에 적용된 엔진 기술 '트윈 엔진'은 가솔린 엔진 동력으로 앞바퀴를 구동시키고 약 80마력의 전기 모터가 뒷바퀴를 구동하는 사륜구동 시스템 기술을 일컫는다.
특히 고성능 리튬이온 배터리가 터널 모양의 콘솔 안에 자리를 잡아 최상의 안전성을 보장하고 중량을 분산시켜 편안하고 부드러운 주행 성능을 보여줬다.
여기에 올 뉴 XC90 모든 트림에는 5가지 주행모드(에코, 컴포트, 다이내믹, 오프로드, 개인)가 기본 장착돼 도로 상황에 따른 다양한 운전 방식이 가능했다.
올 뉴 XC90 T8의 복합 연비는 휘발유 기준 9.5km/리터(도심 8.8km/리터, 고속도로 10.5km/리터)다. 또한 순수 전기차 모드(퓨어 모드를 선택한 경우)로 주행하면 1회 충전 뒤 최대 주행 가능한 거리는 24km다. 또한 복합 연비는 2.7km/Kwh(도심 2.7km/Kwh, 고속도로 주행 2.6km/Kwh)다.
가격은 XC90 T8 EXC 트림이 1억3637만 원(개별소비세 1.5% 적용)이다.
한편 볼보 XC90 D5는 국내 최대 자동차 거래 플랫폼 SK엔카닷컴이 발표한 대형 SUV 잔존 가치(중고차 시세) 조사에서 2년 연속 71% 이상의 높은 잔가율을 기록해 동급 브랜드 모델을 제치고 가장 높은 잔존 가치를 기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