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레바논에서 발생한 헤즈볼라 호출기 폭발 사건으로 인해 전기차 배터리의 폭발 가능성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튀르키에투데이가 18일(현지시각) 이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진실을 밝혔다. 전문가들은 전기차 배터리와 호출기 폭발 사건은 그 원인과 메커니즘이 완전히 다르며, 전기차 배터리의 원격 폭발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호출기 폭발과 전기차 배터리, 무엇이 다를까?
헤즈볼라 호출기 폭발 사건은 이스라엘이 호출기에 폭발물을 설치하여 의도적으로 발생시킨 테러 행위였다. 반면, 전기차 배터리는 내부 시스템에 의해 철저히 관리되며, 외부의 의도적인 공격에 취약하지 않다.
△의도적 조작 vs 자연적 고장: 헤즈볼라 호출기는 첨단 기술을 이용해 특정 취약점을 악용하여 원격으로 폭발시킨 것이다. 반면, 전기차 배터리 고장은 대부분 과열이나 제조 결함 등 자연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안전 시스템: 전기차 배터리에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이라는 안전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BMS는 배터리의 온도, 전압, 전류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이상 징후를 감지하고 배터리를 보호한다.
△외부 공격에 대한 취약성: 물론, 이론적으로는 BMS를 해킹하여 배터리를 조작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존재한다. 하지만 이는 매우 정교한 기술과 노력이 필요하며,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거의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