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발효한 수입 자동차 25% 관세에 정면으로 맞서, 미국산 수입 차량에 대해 동일한 25% 보복 관세를 부과하며 북미 무역 갈등이 격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3일(현지시각) CBC 뉴스 보도에 따르면,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이날 오타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캐나다 정부의 강력한 대응 방침을 발표했다. 카니 총리는 "캐나다 정부는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CUSMA)을 준수하는 모든 차량에 대해, 비(非)캐나다산 부품 비율에 따라 미국산 수입차에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못 박았다. 다만, 멕시코에서 수입되는 차량은 이번 보복 관세 대상에서 제외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카니 총리는 이번 보복 관세의 특징에 대해 "우리는 긴밀하게 통합된 생산 시스템의 이점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우리의 관세는 자동차 부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캐나다 정부는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캐나다 내 생산과 투자를 유지하는 한, 이 보복 관세를 피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있다"고 밝혀, 자국 내 자동차 산업 보호 의지를 분명히 했다.
또한, 카니 총리는 미국 행정부가 현재의 무역 정책 기조를 쉽게 되돌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하며, "미국 가정과 노동자들이 이번 관세로 인해 실질적인 피해를 입었다는 사실이 명백해지기 전까지는 미국 행정부가 무역 정책에 대한 현재의 궤도를 수정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단언했다. 그는 냉정한 어조로 "자국민이 입을 수 있는 피해를 감안할 때, 미국 행정부는 결국 노선을 바꿔야 할 것이다. 하지만 헛된 희망을 주고 싶지는 않다"고 덧붙였다.
캐나다의 이 같은 강경한 대응책을 설명하기에 앞서, 카니 총리는 현재의 세계 경제 상황이 불과 하루 사이에 ‘상당한 변화’를 겪었다고 진단했다. 그는 "어제 미국 행정부의 조치는 캐나다를 특정하여 겨냥한 것은 아니지만, 세계 경제를 파열시키고 전반적인 경제 성장에 심각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미국과의 통합을 꾸준히 심화해 온 우리의 오랜 관계는 이제 끝났다"고 선언하며, "미국이 세계 경제 리더십의 망토를 받아들였던 지난 80년의 시대가 끝났다"고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캐나다는 앞서 다른 여러 국가들이 직면했던 10%의 기본 관세는 피했지만, 자정부터 즉시 발효되는 수입 자동차에 대한 미국의 25% 관세는 캐나다 자동차 산업에 상당한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카니 총리는 보복 관세 시행과 더불어, 캐나다 정부는 법적 채널을 통해 미국의 관세 조치에 적극적으로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해당 관세가 국제 무역 규정을 명백히 위반하는 행위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기 위해 세계무역기구(WTO)에 이미 제소했다"고 덧붙여, 다각적인 대응 전략을 추진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캐나다의 이번 강력한 보복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정책에 대한 정면 도전으로 해석되며, 향후 미-캐나다 무역 관계는 물론 글로벌 무역 질서에도 상당한 파장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긴밀한 경제적 상호 의존성을 가진 양국 간의 무역 갈등 심화는 양국 소비자들과 관련 산업 전반에 걸쳐 예상치 못한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