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치사항으로는 우선 차를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 세우고 시동을 켜둔 상태에서 보닛을 열어 놓도록 한다. 이 때 에어컨의 작동은 중지시킨다. 약 2-3분 지난 후 시동을 끈다. 냉각수가 부족하면 보충한다. 이때 라디에타 캡을 열 때 주의하여야 한다. 라디에이터 캡을 열 때는 걸래 등으로 감싼 후 캡을 눌러 반쯤 회전시키면 라디에이터 내의 고압을 해제시킨 후 캡을 열어야 한다.
항상 보조탱크의 물량을 확인해야 한다. 레벨 눈금을 확인하고, 보조탱크 내에 고무호스가 충분히 잠겨있는지를 확인하고, 부족한 경우 냉각수를 보충한다.
오버히트(over heat)가 일어나는 경우는 팬이 돌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는 퓨즈나 릴레이가 정상인지 확인한다. 퓨즈·릴레이 박스에서 용량이 같은 것을 바꿔 끼어 본다. 이렇게 시도했는데에도 팬이 돌지 않는다면 퓨즈, 릴레이의 이상이거나 수온센서의 고장, 혹은 벨트가 끊어졌을 때 등이다. 이밖에도 팬모터 자체의 고장일 수도 있다. 이런 경우는 교환해야 한다.
팬의 이상여부를 점검하는 방법으로는 시동을 걸어놓은 상태로 5-10분 후 엔진이 열이 날 때 웅~하는 팬이 회전하는 소리가 나는지 확인한다. 열이 나는데에도 팬이 회전하지 않으면 문제가 있는 것이다. 확인하고 수리해야 한다.
운전자는 항상 내 자동차의 휴즈와 릴레이가 어디에 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휴지박스에서 와이퍼 휴즈의 위치를 확인한다. 이때 와셔액도 함께 점검한다.
① 브러시의 상태 점검 : 닦는 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잡음이 나면 와이퍼 블레이드가 경화된 것이다. 고무제품이기 때문에 시간이 흐르면 경화되어 잘 닦이지 않거나 줄이 생긴다. 교환할 시기가 된 것이다. 또 자동차가 달리면서 작동할 때 와이퍼블레이드가 제대로 밀착되지 않으면 압력스프링이 노후화된 것이다. 확인하고 수리해야 한다.
② 모터의 작동 : 모터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는 휴즈나 릴레이 또는 와이퍼 모터 연결 배선의 커넥터 등이 빠지거나 소손된 것이다.
모터는 작동하는데 와이퍼가 움직이지 않으면 와이퍼 암과 모터의 연결부분이나 와이퍼 암을 고정시키는 너트 등이 풀린 것이다.
③ 와셔액 : 와셔 액량을 확인하여 필요한 경우 보충한다. 호스의 상태를 확인하여 갈라지거나 소손된 경우 교체한다.
와셔액이 제대로 분사되지 않으면 액량이 적은 경우가 많다. 워셔액이 있는데도 나오지 않으면 펌프의 작동을 확인해야 한다. 와셔 휴즈를 확인한다.
또 분사시 분사각도가 맞지 않는 경우 노즐을 점검하여 조정한다.
와셔 펌프가 작동하는데도 액이 나오지 않으면 노즐이 막히거나 연결 호스가 빠진 경우이다. 노즐을 호가인하여 뚫거나, 탱크에서 노즐까지 연결된 호스를 점검하고 교환한다.
③ 브레이크 사용 억제 운전 : 가급적 브레이크 사용을 억제하는 운전습관이 필요하다. 또 내리막길 등을 운전할 때는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도 중요하다. 휴가철 가족 등 많은 사람이 동승한 상태로 긴 내리막길을 운행할 때 브레이크 페달을 자주 밟게 되면 패드와 디스크의 마찰에 의해 휠에 열이 많이 발생한다. 마찰열의 증가로 인해 평소 운전하던 것과는 다르게 브레이크가 잘 듣지 않는다. 이런 경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가급적 발로 밟는 브레이크를 적게 밟는 운전을 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장시간 뜨거운 햇빛에 세워두면 연료펌프나 파이프에 기포가 발생되어 시동이 안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도 있다. 휘발유 냄새가 심하게 나거나 시동이 걸리지 않으면 자동차를 식힌다. 연료탱크 주변을 찬물로 적시고 냉각될 때까지 기다린다. 낡은 자동차일수록 심하므로 이런 자동차의 경우는 가급적 연료를 가득 채우고 다니도록 한다.
장시간 주차시 도난의 위험이 없다면 실내온도 상승을 막을 수 있도록 유리창을 조금 내려서 실내의 온도상승을 억제시키는 것이 좋다. 특히 어린이가 차안에 있는 경우는 조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