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글로벌 자율주행차 제조업계에 지각변동이 일고 있다. 그동안 선두를 달려온 구글 자매기업 웨이모가 자동차 완성차업체인 포드와 도요타에 따라잡힌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자율주행차 제조업계에 지각변동 움직임이 일고 있다.
그동안 자율주행차 시장에서 확고한 선두자리를 지켜왔던 구글의 자매기업 웨이모가 미국 완성차업체 포드와 일본 완성차업체 도요타에 적어도 기술력 측면에서 따라잡힌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25일(현지시간) 일본 니혼게이자이 신문에 따르면 전세계 주요 자율주행차 제조업체들이 지난 1월 기준으로 신규 특허를 출원한 실적을 조사해 분석한 결과 포드자동차와 도요타자동차가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포드의 신규 특허 출원은 6054건, 도요타의 신규 특허 출원은 5349건으로 각각 나타났다.
IT 기업이 주도했던 자율주행차 개발의 무게 중심이 완성차 업체 쪽으로 옮겨가는 양상이라고 니혼게이자는 분석했다.
◇구글 계열사 웨이모 3위로 내려 앉아
이번 조사는 신규 특허 출원 실적을 기준으로 전 세계 주요 자율주행차 업체들의 기술력을 평가할 목적으로 니혼게이자 신문이 의뢰해 일본의 특허 전문업체 페이턴트리절트가 진행했다.
이번 조사에서 가장 주목할 부분은 지난 2018년 7월 조사에서 1위를 고수했던 웨이모가 처음으로 3위로 내려앉았다는 점이다. 지난 1월 기준 웨이모의 신규 특허 출원 건수는 4895건에 그쳤다. 4위는 3193건을 기록한 제너럴모터스(GM)가 차지했다.
이같은 조사 결과에 대해 니혼게이자이는 “자율주행 기술이 점차 실용화되는 단계에 진입하면서 주요 완성차업체들이 자동차 제조에 관한 노하우를 등에 업고 웨이모를 비롯해 한때 자율주행차 기술 개발을 이끌었던 업체들을 따라잡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니혼게이자이는 다만 “신규 특허를 가장 많이 출원한 50개 업체 명단에 도요타, 혼다, 닛산을 비롯해 12개 일본업체가 이름을 올린 것은 고무적인 일”이라면서도 “그러나 일본 업체들은 미국이나 중국의 경쟁사들에 비하면 시험주행 거리 측면에서는 한참 뒷떨어져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시험주행 거리는 자율주행차의 기술력을 검증하는 또하나의 기준으로 자율주행차가 사람 운전자 수준까지 가기 위해서는 약 2억7500만 마일(약 4억4300만㎞)의 시험주행 시험을 거쳐야 하는 것으로 업계에서는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