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모터스

글로벌모터즈

이전

리비안, 테슬라에 반격.. 50억달러 공장 건설 중단·저가 SUV 출시

다음

리비안, 테슬라에 반격.. 50억달러 공장 건설 중단·저가 SUV 출시

기사입력 : 2024-03-08 10:23 (최종수정 2024-03-08 12:03)

  • 인쇄
  • 폰트 크기 작게
  • 폰트 크기 크게
공유 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구글플러스 공유하기


SUV R2  사진=리비안
SUV R2 사진=리비안
[글로벌모터즈 노정용 기자] 리비안은 7일(현지 시간) 저가형 중형 전기차 SUV R2 모델을 출시하고, 50억 달러 규모의 미국 조지아공장 건설 계획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리비안의 전략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경영 전환이다.

리비안은 조지아 공장 건설 중단을 통해 자본 효율성을 높이고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새로운 SUV R2 모델은 저렴한 가격으로 중국 시장 공략을 시도한다. 테슬라와의 경쟁은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리비안의 성장 가능성은 여전히 투자자들에 기대감을 주고 있다.

리비안은 왜 조지아 공장 건설을 중단했나


수요 둔화와 경기 불확실성:
2023년 하반기부터 전기차 시장 성장 속도가 둔화되고 경기 불확실성이 높아짐에 따라 리비안은 투자 전략을 조정했다. 50억 달러 규모의 조지아 공장 건설은 잠정 중단되고, 기존 일리노이 공장을 활용하여 생산 효율성을 높이는 데 집중하기로 했다.

자본 확보:
리비안은 2023년 12월 15억 달러 규모의 유동성 확보를 통해 R2 모델 출시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했다. 조지아 공장 건설 중단은 자본 확보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생산 효율성:
리비안은 일리노이 공장에서 R1 모델 생산을 늘리고 R2 모델 생산을 병행함으로써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환경 문제:
최근 전기차 타이어 미세먼지 오염 문제가 대두되면서 전기차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나오고 있다. 리비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친환경 타이어 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리비안 생산 공장  사신=리비안
리비안 생산 공장 사신=리비안


리비안의 재무 상황 분석


2023년 3분기 현금 등 155억 달러를 보유하고 있다. 이는 향후 3년 이상 운영 자금을 충당할 수 있는 수준이다. 투자자들의 신뢰를 높이는 요소다. 매출은 5억 4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했다. 순손실 17억 달러로 이는 생산량 증가와 연구 개발 투자 확대에 따른 결과다.

리비안과 테슬라 제품 비교

리비안의 새로운 SUV R2 모델은 3초 만에 시속 60마일까지 가속하는 전기 중형 SUV다. 가격은 4만5000 달러다. 2026년 상반기 출시 예정이다. 경쟁 제품인 테슬라 모델 Y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

가격:
리비안 R2 모델은 테슬라 모델 Y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출시된다. 하지만 테슬라도 저가 모델 출시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술:
테슬라는 자율주행 기술 등에서 기술 우위를 점하고 있다. 리비안은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투자하고 있지만, 아직 테슬라 수준에는 미치지 못한다.

브랜드:
테슬라는 강력한 브랜드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 리비안은 브랜드 인지도를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미치진 못한다.

시장 점유율:
테슬라는 전기차 시장에서 선두권을 달리고 있다. 리비안은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투자자의 좋은 점수와 급등하는 주가


투자자들은 리비안이 아직 초기 단계 기업이지만 높은 성장 잠재력과 혁신적인 기술, 경험이 많은 경영진을 보유하고 있다고 좋은 점수를 주고 있다. 투자자들은 리비안의 향후 성장과 수익성 개선에 기대하고 있다. 리비안 주가는 공장 계획 중단과 SUV R2 모델 출시 발표 이후 급등했다.

리비안은 저가 SUV R2 모델 출시를 통해 테슬라에 맞서 공격적인 변화를 시도하고 있지만 테슬라와의 경쟁은 여전히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리비안의 향후 성공 여부는 R2 모델 출시 성공, 전기차 시장 성장, 경쟁사의 전략 변화, 자율주행 기술 개발 진척 등에 달려 있다.


노정용 기자 noja@g-enews.com
노정용 기자가 쓴 기사 바로가기 →